728x90
반응형

K8S 4

[Jenkins] 젠킨스(Jenkins) - 유용한 플러그인(Plugin) 모음

1. AnsiColor Plugin – 콘솔 로그 가독성 향상Jenkins의 콘솔 출력은 흑백으로만 표현되어 있어 빌드 오류나 경고를 빠르게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AnsiColor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쉘 스크립트에서 출력한 ANSI 컬러 코드가 실제 색상으로 표현되어 로그 가독성이 현저히 향상됩니다.컬러 테마 설정 가능파이프라인 스크립트에서 ansiColor('xterm')로 손쉽게 적용 가능쿠버네티스 환경처럼 로그 분석이 어려운 환경에서 특히 효과적입니다.2. Throttle Concurrent Builds Plugin – 리소스 사용량 조절Jenkins는 기본적으로 모든 Job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 과도한 리소스를 소모할 수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은 Job 단위 또는 Ag..

Devops/Jenkins 2025.04.19

[Jenkins] 젠킨스(Jenkins) - 설치부터 운영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실전 예제 (+망 분리 환경)

이 문서는 Jenkins를 실제 운영 환경에 구축하려는 분들을 위한 실전 중심 가이드입니다. 단순히 Jenkins 설치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Jenkinsfile 작성법, 플러그인 설정, 그리고 폐쇄망(망 분리) 환경에서의 사용 전략까지 담아, 현실적인 고민에 맞는 대응법을 함께 다루겠습니다."Jenkins를 처음 설치했는데 뭘 해야 하지?" "플러그인은 무엇부터 써야 하고, 어떤 설정을 건드려야 할까?" "망 분리된 환경이라 HTTP 요청도 안 되는데 이거 어떻게 써야 해?"이런 의문을 가진 분들이라면, 아마 이 문서에서 많은 힌트를 얻어갈 수 있을 거예요.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1️⃣ Jenkins 실전 구축 시작하기🔧 설치 방법: 패키지 기반 vs WAR 파일 vs 컨테이너운영 환경에서 J..

Devops/Jenkins 2025.04.19

[Jenkins] 젠킨스(Jenkins)란? 역사와 등장 배경, 구조와 활용 방법

✨ 1. 들어가며: Jenkins란 무엇인가?Jenkins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자동화 서버로, 소프트웨어 개발 파이프라인의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 및 지속적인 배포(Continuous Delivery, CD)를 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Java로 작성되어 플랫폼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플러그인 기반의 유연한 구조 덕분에 거의 모든 개발 환경과 통합할 수 있습니다.Jenkins의 핵심 가치는 "개발자의 수동 반복 작업을 줄이고, 자동화된 퀄리티 게이트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확보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Jenkins의 역사적 기원부터 사용 목적, 아키텍처, 플러그인 구조, 동작 원리, 현대 DevOps 생태계에서..

Devops/Jenkins 2025.04.19

[테라폼] 테라폼(Terraform) 완전 정복: AWS 인프라를 Terraform으로 완전 자동화하기 (WAF, API Gateway, Elasticache, Redis, EventBridge) - 3

들어가며앞서 1편에서는 VPC, EC2, IAM 등 기본 인프라 구성부터 시작했고, 2편에서는 ALB, Lambda, CloudFront, Route53, ACM을 포함한 웹 서비스 배포 전반을 다뤘습니다.이번 3편에서는 더 나아가서, 실제 운영 환경에서 중요한 다음 서비스를 Terraform으로 구성하는 법을 소개합니다:WAF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API Gateway (REST/HTTP 엔드포인트)Elasticache (Redis)Step Functions (워크플로우)EventBridge (이벤트 라우팅)각 서비스마다 실전 예제를 제공하며, Terraform으로 완전 자동화하는 방식을 보여드릴게요.목차WAF (Web ACL) 설정API Gateway REST/HTTP 구성Elasticache R..

Devops/Terraform 2025.04.19
728x90
반응형